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완전체의 귀환, (여자)아이들 'We are'로 다시 쓰는 서사

by mininews24 2025. 5. 20.
반응형

여자아이들
여자아이들

 

2025년 5월, K-POP 씬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그 중심에는 바로 (여자)아이들이 있습니다. 1년여 만에 완전체로 컴백한 이들은 미니 8집 ‘We are’를 통해 다시 한번 자신들의 음악적 정체성을 선언하고 있습니다. '퀸카', '톰보이' 등 선 굵은 히트곡을 통해 독보적인 서사를 구축해 온 이들은, 이번 앨범에서 한층 성숙해진 메시지와 새로운 사운드로 무장했습니다.

 

특히 타이틀곡 '굿 띵(Good Thing)'은 단번에 귀를 사로잡는 중독적인 훅과 리듬으로 ‘역시 (여자)아이들’이라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이번 컴백은 단지 앨범 발매를 넘어서, 그간 개별 활동을 이어온 멤버들이 다시 뭉쳐 ‘우리’를 외치는 순간입니다. 그들의 귀환이 단순한 재결합이 아닌 ‘진화된 집합’이라는 것을 알리는 신호탄이기도 합니다.

1. 'We are'에 담긴 세 가지 선언: 존재, 연대, 그리고 여성성

(여자)아이들의 ‘We are’는 단순한 앨범 제목이 아닙니다. 이 말속에는 존재의 외침이 담겨 있습니다. ‘우리는 존재한다’, ‘우리는 여전히 여기 있다’는 다층적인 선언이기도 합니다. 이번 앨범의 전체적인 구성은 각 트랙이 마치 하나의 챕터처럼 연결되어, 자신들의 정체성과 방향성을 다시 한번 명확히 합니다.

 

특히 눈여겨볼 점은 ‘연대’의 개념입니다. ‘퀸카’나 ‘누드’가 개인의 강한 주체성을 드러냈다면, ‘We are’는 우리가 함께일 때 더 강하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는 (여자)아이들의 활동 흐름 속에서 새로운 지점으로 읽힙니다. 단단한 개성을 가진 멤버들이, 이제는 서로의 색을 조화롭게 엮으며 ‘팀’으로서의 가치를 강조하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 더해, (여자)아이들이 일관되게 강조해 온 ‘현대적인 여성성’은 이번 앨범에서도 유효합니다. 강인함과 섬세함, 자존감과 연대감이 동시에 녹아들어 있는 곡 구성은, 단지 음악을 넘어 하나의 메시지로 작용합니다. 특히 수록곡 ‘She’s Me’는 여성 주체성을 감성적으로 표현한 곡으로, 팬들 사이에서 깊은 공감을 얻고 있습니다.

 

이처럼 ‘We are’는 단순한 컴백 이상의 의미를 지닙니다. 이는 하나의 슬로건이자 선언이며, (여자)아이들의 진화된 세계관을 요약하는 구절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2. 타이틀곡 ‘굿 띵(Good Thing)’ – 가볍지 않은 중독성의 미학

첫 소절부터 확 잡아끄는 베이스라인, 거기에 얹힌 소연의 선 굵은 랩, 미연의 청량한 보컬, 우기의 독특한 발성과 민니의 유려한 감성. 타이틀곡 ‘굿 띵’은 겉으로는 밝고 신나는 듯하지만, 그 안에 녹아든 복합적인 정서가 듣는 이를 끌어당깁니다.

‘굿 띵’은 ‘좋은 것’을 노래하는 동시에, 그것이 갖는 상대성과 함정까지도 언급합니다. ‘내가 좋은 걸 고르겠다’, ‘너희가 뭐라 하든 나에게 좋은 건 내가 정한다’는 메시지가 중심에 있습니다. 이는 요즘 MZ세대의 가치관과도 맞닿아 있어, 음악 이상의 공감을 형성합니다.

 

뮤직비디오는 아방가르드한 콘셉트와 화려한 컬러가 조화를 이루며 곡의 분위기를 극대화합니다. 소연의 강렬한 눈빛, 민니의 꿈같은 장면, 우기의 파워풀한 안무 등은 ‘완전체의 힘’을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무엇보다도 이번 곡은 각 멤버의 개성이 고르게 살아 있으면서도 하나로 뭉쳐진 완성도가 돋보입니다.

 

무대 위에서도 그들은 여전히 당당합니다. 댄스 브레이크가 삽입된 퍼포먼스 구성은 팬들에게 보는 즐거움까지 선사하며, ‘음악방송 올킬’을 향한 기대감도 높이고 있습니다.

3. 솔로에서 다시 하나로 – 완전체가 가진 시너지

그동안 (여자)아이들 멤버들은 각자의 자리에서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습니다. 소연은 프로듀서이자 솔로 아티스트로서의 입지를 다졌고, 민니는 드라마와 OST에서, 우기는 중국 활동을 중심으로 글로벌 팬층을 확장했습니다. 미연은 음악과 방송을 병행하며 특유의 안정감을 보여줬습니다.

 

이러한 개별 활동은 결국 ‘We are’라는 집합점에서 폭발적인 시너지를 만들어냈습니다. 각자의 경험과 성장, 음악적 확장이 이번 앨범에 녹아들어 있어, 전보다 더 넓은 스펙트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는 완전체가 단지 숫자의 의미가 아니라, ‘결합 그 자체가 에너지’ 임을 입증합니다.

 

특히 팬들에게 의미 있는 순간은 다섯 멤버가 함께 서는 무대입니다. 2025년 첫 컴백 무대에서 팬들은 ‘이게 바로 (여자)아이들이다’라는 찬사를 보내며 뜨거운 환호를 보냈습니다. 한 명 한 명이 주인공이지만, 함께일 때 비로소 완성되는 그룹. 이것이 (여자)아이들의 진짜 저력입니다.

 

또한 팬들과의 소통 방식도 진화했습니다. ‘We are’ 발매 전후로 진행된 팬미팅, 콘텐츠 공개 방식, SNS 상의 티징 등은 철저히 팬심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함께 만든 앨범’이라는 인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여전히 놀랍고, 그래서 더 기대되는 (여자)아이들

(여자)아이들의 미니 8집 ‘We are’는 단순한 앨범 발매가 아닙니다. 이는 지금까지 걸어온 길을 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갈 길을 다시 그리는 작업이었습니다. 중독적인 타이틀곡, 의미 있는 메시지, 각 멤버의 성장까지 모두 어우러진 이번 앨범은 ‘완전체의 진화’ 그 자체입니다.

 

무엇보다도 (여자)아이들은 자신들의 이야기를 멈추지 않습니다. ‘We are’는 그들이 여전히 진행형이라는 것을, 여전히 K-POP 안에서 독보적인 흐름을 만들어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팬들은 이들의 목소리와 메시지를 통해 다시금 ‘나도 괜찮다’는 위로를 받습니다.

 

한때는 도전이었고, 이제는 기준이 된 그룹. (여자)아이들의 다음 챕터가 벌써부터 기다려지는 이유입니다.